검색어 : '왕건' 총검색건수 : 1,467 건
사전검색건수 : 1,206
- 「왕건과 태조산 전설」[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| 천안문화대전]
- [정의]충청남도 천안시에 전해 오는 태조산의 지명 유래에 대한 이야기.[개설]「왕건과 태조산 전설」은 태조(太祖) 왕건(王建)[877~?]이 고려를 건국할 때 태조산(太祖山)[약 250m]에 올라서 군사 요충지임을 파악했다는 지명 유래담이다.[채록/수집 상황]「왕건과...
- 성격전설|유래담|대표분야구비 전승·언어·문학/구비 전승|대표유형작품/설화|지역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유량동|시대고려/고려 전기
- 「태조 왕건」[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| 김제문화대전]
- [정의]전라북도 김제시 금산사(金山寺)를 배경으로 후삼국시대 태조 왕건의 일대기를 그린 역사극.[개설]전라북도를 비롯한 호남 지역민들은 그다지 왕건(王建)을 좋아하지 않는다. 견훤이 도읍지로 삼았던 것과도 유관한데, 이유는 왕건이 이를 빌미로 ‘차현(車峴) 이남의 금...
- 성격역사극|대표분야문화·교육/문화·예술|대표유형작품/음악·공연 작품 및 영상물|지역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|시대현대/현대
- 고려 태조 왕건이 통일의 기반을 다진 천안[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| 천안문화대전]
- 왕건은 이곳을 천안부로 칭하고 도독을 두었다. 이렇듯 삼한 일통의 비원이 서려 있던 도시가 바로 천안이었고 이러한 천안의 역사적 상징성에서 고려 개국의 근원을 찾아 오늘에 되새길 수 있을 것이다.[풍수지리의 역사와 상징성]약칭 풍수설·지리설이라고도 하는 풍수지리사상은...
- 대표분야지리/자연 지리|대표유형개념 용어/개념 용어(기획)|지역충청남도 천안시
- 왕건, 왕선 고개 너머 얻은 새 삶과 후삼국 통일의 계기[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| 달성문화대전]
- [정의]927년 공산 전투에서 패한 왕건과 관련한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에 있는 왕선 고개의 의미.[개설]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에 있는 왕선 고개는 고려태조왕건(王建)[877~943]의 후삼국 통일과 관련이 깊은 곳이다. 왕건이 927년 공산 전투(...
- 대표분야역사/전통 시대|대표유형개념 용어/개념 용어(기획)|지역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|시대고대/남북국 시대
고문헌검색건수 : 5
- 정종대왕건릉지(正宗大王健陵誌)[장서각아카이브]
- 편저윤행임(조선) 찬서|간행년正祖24(1800)|간행처미상|소장처한국정신문화연구원|판사항拓印版|형태서지a 장정,분량 : 帖裝, 1帖(15折):; b 삽도,판식 : 半郭29.4 × 23.2㎝, 半葉 10行18字; c 크기(세로x가로) : 39.2 × 28.6㎝|간행년正祖24(1800)
- 정종대왕건릉지(正宗大王健陵誌)[장서각아카이브]
- 편저윤행임(조선) 찬서|간행년正祖24(1800)|간행처미상|소장처한국정신문화연구원|판사항拓印版|형태서지a 장정,분량 : 帖裝, 1帖(15折):; b 삽도,판식 : 半郭29.4 × 23.2㎝, 半葉 10行18字; c 크기(세로x가로) : 39.2 × 28.6㎝|간행년正祖24(1800)
- 정종대왕건릉비(正宗大王健陵碑)[한국학자료센터]
- 내용분류교육·문화-예술-금석문|작성시기1800|작성인물이산(李祘)|작성지역경기도 화성군|표기문자한자|판본권자본(卷子本)|수량2면|원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|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
- 正宗大王建[健]陵誌[장서각아카이브 | 장서각 소장 조선 왕실 문헌 해제 및 원문이미지]
- 장서각자체촬영,1/1
- 분류한국본/사부/지리류|태그표지|분류한국본/사부/지리류|이미지가로4805|이미지세로5000
- 정종대왕건릉[합봉]비(正宗大王健陵[合封]碑)[한국학자료센터]
- 내용분류교육·문화-예술-금석문|작성시기1807|작성인물이산(李祘)|작성지역경기도 화성시|표기문자한자|판본권자본(卷子本)|수량2면|원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|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
출판자료검색건수 : 156
- 궁예 견훤 왕건과 열정의 시대[한국학전자도서관]
- 그리고 진성여왕 = 30 까마귀떼처럼 서로 만난 선종과 양길 = 34 '상승장군(常勝將軍)' 선종 = 36 궁예와 왕건의 만남, 그리고 고구려의 부활 = 43 선종과 왕건의 역사적인 만남 = 43 양길을 꺾고 중부권을 제패하다 = 47 200여 년...
- 소장위치한국학전자도서관|청구기호911.03 이25궁|저자이도학 지음|발행사항김영사; 2001|형태사항357 p. : 도표 ; 23 cm|ISBN8934905050
- 高麗 太祖 王建 硏究[한국학전자도서관]
- 98 4. 맺음말 = 110 第2章 고려 태조 왕건의 통지시대 Ⅰ. 순군부고 = 113 1. 머리말 = 113 2. 순군부 연구 재검토 = 115 3. 순군부의 기능과 성격 = 130 4. 맺음말 = 139 Ⅱ. 광평성고 = 143 1. 머리말...
- 소장위치한국학전자도서관|청구기호911.04 최16ㄱ|저자최규성|총서사항한국사의 재발견; 2|발행사항주류성; 2005|형태사항511 p. : 사진 ; 23 cm|ISBN8987096467
- (인물로 읽는) 고려사 : 용의 후손 왕건에서부터 이성계까지[한국학전자도서관]
- 목차 1장 고려의 여명 견훤/후백제를 건국한 불세출의 영웅 = 13 궁예/못다이룬 신라왕자의 꿈 = 28 2장 고려왕조의 성립과 전개 태조 왕건/고려를 건국한 용의 후손 = 43 개국공신 4인방/홍유, 배현경, 신숭겸, 복지겸 = 69 환선길과 이흔암/'왕건...
- 소장위치한국학전자도서관|청구기호고 911.04 정54ㄱ|저자정성희 지음|발행사항청아; 2001|형태사항443 p. : 삽도 ; 23 cm|ISBN8936800752
멀티미디어검색건수 : 86
AKS지식DB검색건수 : 14
외부 연계검색건수 : 1,784
- 왕건(王建) 신화의 원형적 상징성 :영웅(英雄) 출현 원리들 중심으로 /유경환[국회전자도서관]
- DB국내학술기사|수록지명새국어교육.통권62호 (2001. 8)|발행년2001|발행자한국국어교육학회
- 왜 왕건의 부인은 29명일까? :견훤 vs 왕건 /김갑동 글 ;손영목 그림[국회전자도서관]
- DB일반도서|발행년2010|발행자자음과모음, 손영목 그림
- 王建의 統一전략을 생각한다 :「고려 태조 王建」의 작가 金聲翰옹 <對談> /金聲翰·鄭淳台[국회전자도서관]
- DB국내학술기사|수록지명月刊朝鮮.250(2001.1)|발행년2001|발행자조선일보사
- 高麗太祖王建 연구/陰善赫[국회전자도서관]
- DB학위논문|대학全南大學校 大學院,
- 신라 '景哀王의 죽음'과 견훤·왕건의 攻防 :왕건·견훤의 서한을 중심으로 =Death of Silla king, Kyungae(景哀王) and GyeonHwon(甄萱) and WangKeun(王建)'s Controversy : Focusing on the letters of GyeonHwon(甄萱) and WangKeun(王建) /박순교[국회전자도서관]
- DB국내학술기사|수록지명동아인문학.37호 (2016. 12),|발행년2016|발행자동아인문학회,2016.12.30
- 간양록(看羊錄)[한국고전번역원]
- 권차명적중 봉소(賊中封疏)|문체명난리를 겪은 사적[涉亂事迹]|기사명난리를 겪은 사적[涉亂事迹]|역자신호열|저자강항|姜沆|저자몰년1618|저자생년1567|자료구분최종정보|주제분류기행|사부분류사부(史部)-지리류(地理類)|문체분류雜著類-其他類|간행처한국고전번역원|간행기간1974|간행년1974
- 간양록(看羊錄)[한국고전번역원]
- 권차명姜睡隱看羊錄|문체명[疏]|기사명倭國八道六十六州圖 見下此圖複出而在下者加詳故删諸此|저자강항|姜沆|저자몰년1618|저자생년1567|자료구분최종정보|주제분류기행|사부분류사부(史部)-지리류(地理類)|문체분류雜著類-其他類|간행처한국고전번역원|간행년1656
- 간양록(看羊錄)[한국고전번역원]
- 권차명姜睡隱看羊錄|문체명[事迹]|기사명涉亂事迹|저자강항|姜沆|저자몰년1618|저자생년1567|자료구분최종정보|주제분류기행|사부분류사부(史部)-지리류(地理類)|문체분류雜著類-其他類|간행처한국고전번역원|간행년1656
- 간이집(簡易集)[한국고전번역원]
- 권차명간이집 제5권|문체명괴원문록(槐院文錄)|기사명송 경략(宋經略)에게 보낸 자문|역자이상현|저자최립|崔岦|저자몰년1612|저자생년1539|자료구분최종정보|주제분류문집|사부분류집부(集部)-별집류(別集類)|문체분류公車類-其他類|간행처한국고전번역원|간행기간1999~2000|간행년2000
- 경자연행잡지(庚子燕行雜識)[한국고전번역원]
- 권차명壬子燕行雜識|문체명[雜識]|기사명壬子燕行雜識|저자이의현|李宜顯|저자몰년1745|저자생년1669|자료구분최종정보|주제분류기행|사부분류사부(史部)-지리류(地理類)|문체분류雜著類-其他類|간행처한국고전번역원|간행년미상
- 02. 準詔言事上書[전통문화연구회]
- 이 글은 仁宗 慶曆 2년(1042) 5월에 지어졌다. 당시 契丹이 汴京으로 사신을 보내와서 晉陽 및 瓦橋關 이남 10縣의 땅을 요구하였다. 이에 富弼이 거란에 가서 講和를 맺어 宋나라는 해마다 은 10만 냥'' 명주 10만 필을 거란...
- 04. 論水災疏[전통문화연구회]
- 04. 論水災疏言人所不敢言이요 亦人所不能見이니 如此奏疏는 漢唐所少라 臣伏 覩近降詔書에 以雨水爲災하야 許中外臣寮上封言事하니 有以見陛下畏天愛人恐懼修省之意也라 竊以雨水爲患이 自古有之라 然未有水入國門하야 大臣犇走하고 渰浸社稷하며 破壞都城者하...
- 01. 本論上[전통문화연구회]
- 이 글은 慶曆 2년(1042)에 지은 것이다. 당시 歐陽脩가 京師에서 太子中允을 맡고 있으면서 ≪崇文總目≫을 編修하는 데 참여하고 있었다. ≪宋史≫ 권11 仁宗 3년 條에 의거해보면'' 경력 2년 5월 甲寅에 詔令을 내려 弘文館'' ...
- 01. 五代史職方考論[전통문화연구회]
- 이 글은 歐陽脩 자신인 編修한 ≪新五代史≫ 〈職方考〉의 서문과 結語를 추려 뽑되 그 안의 圖譜와 설명은 뺀 것이다. 職方은 원래 官名이다. ≪周禮≫ 〈夏官〉에 職方氏란 관직이 있는데 천하의 地道와 사방 제후들이 바치는 貢物을 담당한다...
- 03. 五代史前蜀王建世家論[전통문화연구회]
- 이 글은 ≪五代史≫ 〈前蜀王建世家〉에 있는 傳論이다. 王建은 자는 光圖이고 許州 舞陽 사람이다. 젊을 때는 소를 도살하고 나귀를 훔치고 소금을 밀매하는 등 나쁜 일을 하면서 살다가 從軍하여 隊將이 되었다. 그리고 唐 僖宗의 환관 田令...
- 왕건[국립중앙도서관]
- 자료유형도서|저작자심경석 글;정준용 그림|발행처新太陽社|매체구분인쇄자료(책자형)|소장처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|발행연도1988|저작권협약도서관(열람, 인쇄 시 과금)|비치일20060306|청구기호박홍근991.1-5-2-75|동양서분류역사
- 왕건[국립중앙도서관]
- 자료유형도서|저작자심경석 글 ;정준용 그림|발행처신태양사|매체구분인쇄자료(책자형)|소장처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|발행연도1992|비치일20081031|청구기호아991.1-8-30-7|동양서분류역사
- 왕건[국립중앙도서관]
- 자료유형도서|저작자엮은이: 이영호 ;그린이: 김영미|발행처웅진출판|매체구분인쇄자료(책자형)|소장처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|발행연도1996|저작권협약도서관(열람, 인쇄 시 과금)|비치일20160406|ISBN8901016826 8901016885|청구기호아990-11-5-6|동양서분류역사
- 왕건[국립중앙도서관]
- 자료유형도서|저작자김산호 그림;김태하 글|발행처마당|매체구분인쇄자료(책자형)|소장처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|발행연도2004|비치일20040720|ISBN8948103784 8948103903|청구기호아991.1-4-19|동양서분류역사
- 왕건[국립중앙도서관]
- 자료유형도서|저작자배부성 글;박기욱 그림|발행처키즈랜드|매체구분인쇄자료(책자형)|소장처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|발행연도2005|비치일20050714|ISBN8959000868 8959001104|청구기호아990-5-17-24|동양서분류역사